금리 인하, 왜 다시 주목받고 있나?
2025년 1분기를 지나며 '금리 인하'라는 키워드가 다시 시장의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하반기부터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하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고, 한국은행 역시 이에 보조를 맞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4월 기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3.5%로 유지되고 있지만, 경기 둔화 신호와 가계부채 부담완화를 위해 금리 인하를 고민하는 분위기가 감지 됩니다.
그렇다면 금리가 인하되면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대출금리는 내려가지만 예금 금리도 함께 낮아져 자산 관리 전략이 크게 바뀔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개인 투자자들은 재테크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금리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합니다.
금리 인하 시 바뀌는 점
금리가 내려가면 가장 먼저 변화되는 곳은 '이자 비용'입니다. 1억원의 주택담보대출을 연 5% 이율로 받았다면 이자만 연 500만원 이지만 금리가 4%로 내려간다면 연간 이자 부담은 연 400만원으로 줄어듭니다. 반대로 은행 예금 금리도 낮아지기 때문에 정기예금이나 적금에 의존하던 사람들은 이자 수익이 크게 줄어드는 상황이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단기 고금리 특판 상품, 파킹통장, cma통장 같은 유동성 높은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합니다.
금리 인하 시대의 투자 전략
1. 고정금리 예·적금은 피하자
금리가 내려간다는 것은 은행 이자 수익이 줄어든다는 이야기입니다. 변동금리 상품보다는 중단기 채권 ETF나 안정적인 배당주 ETF(SCHD ETF)에 분산투자 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2. 장기 채권 ETF 투자 고려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가격은 올라갑니다.
추천 ETF:
- TLT (미국 20년 이상 국채 ETF)
- IEF (미국 7~10년 중기 국채 ETF)
3. 고배당 ETF로 현금흐름 확보
금리인하 시 은행 예금보다 배당 수익률이 더 높아집니다.
추천 ETF:
- SCHD (미국 우량 고배당)
- TIGER 배당성장 ETF (국내 고배당 주 중심)
특히 SCHD를 5년간 매달 100만원씩 적금한다는 시뮬레이션을 들어보겠습니다
- 투자기간: 2020년 4월 ~ 2025년 4월
- 월투자금액 : 100만원
- 총 투자금액 : 6100만원
- 세후 배당 수령액: 미국 배당세 15% 공제 후 기준
SCHD의 연간 수익률은 평균 약 4.04%이므로 5년간의 세후 배당 수익은 523만원으로 예상됩니다.
4. 성장주 ETF에 분산 투자해 수익 극대화
- QQQ (나스닥 100)
- TQQQ (레버리지, 고수익 고위험)
- SOXL (반도체 3배, 변동성 높음)
금리인하는 기술주와 성장주의 호재가 많습니다.
추천 ETF:
*다만 위의 ETF로 몰아서 투자하시 마시고 분산 투자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개별주식 투자
AI , 양자컴퓨터, GPU, CPU, 클라우드 서비스 등 유망한 산업 투자하세요
- 엔비디아
- 마이크로소프트
- 브로드컴
- 아마존
- 아이온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해킹사태: 유심외에 이걸 해야합니다 (2) | 2025.04.29 |
---|---|
리플 선물 ETF 드디어 승인, 4.28% 급등 (3) | 2025.04.28 |
트럼프 코인 하루만에 40%이상 급등한 이유 (2) | 2025.04.24 |
2025 달바 글로벌 상장, 투자자들이 알아야하는 핵심정보 (0) | 2025.04.23 |
2025년도 5월부터 놓치면 안되는 청년지원금 알아보기 (3) | 2025.04.22 |